Critique/피플(54)
-
박석환, 만화미학의 탐험가 만화가 강도하, 한국인, 네이버캐스트, 2009.05.01
강도하는 90년대 초 '만화'의 이름으로 설치와 행위, 연극과 뉴미디어아트를 선보였던 멀티 아티스트였다. 21세기 초입에는 웹과 만화 인큐베이팅 시스템의 결합을 제안했고 포털사이트에 [위대한 캣츠비]를 연재하면서 서사웹툰의 새 장을 열었다. 약력1969 서울 출생1987 로 만화잡지 ‘보물섬’ 만화공모전 입선1990 연작(2001년까지 각종 매체에 연재)1995 언더그라운드 만화잡지 ‘모던코믹스 봄’ 참여1997 퍼포먼스, ‘발가락으로 그려도 이것 보단 났겠다’(일본 세이카대학)1998 설치, ‘분리된 상처’(금호갤러리, 다다갤러리)2001 만화문화웹진 ‘악진’ 기획, 운영2001 발간2006 발간(07년 TV드라마화, 뮤지컬화, 모바일게임화), 발간2007 , 발간2009 발간, ‘다음’ 연재 중 올해..
2019.01.29 -
박석환, 불멸의 까치를 만들다 만화가 이현세, 한국인, 네이버캐스트, 2009.04.17
이현세는 우리 만화계를 대표하는 아이콘이다. 1982년 [공포의 외인구단]에서 보여줬던 주인공 까치의 열정과 외사랑은 당대의 젊은이가 지녀야 할 가치였고, 패배자들의 재기 드라마는 각박했던 그 시절의 날개였다. 그리고 보리 숲 속에서 맥주를 마시며 지평선을 응시하던 맥주 CF 속 이현세의 모습은 배경 음악으로 사용됐던 루이 암스트롱의 투박한 음색과 함께 강한 사내의 모습으로 대중에게 각인됐다. 약력1954 경북 울진 출생(주민등록상 1956년생)1974 서울 상경, 순정만화가 나하나 문하로 입문 명랑만화가 이정민, 하영조 문하를 거친 후 다수의 작품 발표1978 월남전을 다룬 로 공식 데뷔1979 이후 다수의 까치 시리즈 발표1982 으로 만화붐 주도(83년 영화화, '이장호의 외인구단')1983 발표(..
2019.01.29 -
박석환, 순정만화가 엄희자를 아시나요, 플랫폼, 인천문화재단, 2009.03
소녀의 내밀한 꿈을 통해 순정만화라는 세계를 구축한 엄희자 (사진 출처 - 중앙일보) 한국 만화 걸작선을 발행하고 있는 (재)부천만화정보센터에서 9번째 시리즈로 을 발행했다. 1950년대부터 출발한 이 시리즈는 김종래, 김산호, 박기정, 신동우 등에 이어 60~70년대를 대표하는 만화사의 아이콘으로 엄희자를 선정했다. 이 시리즈 최초의 여성이다. 엄희자를 기억하는 이들도 있겠으나 낯선 이들도 많을 것이다. 의 소설가 양귀자가 엄희자의 팬이었다면 어떨까. 실제로 그의 작품을 보고 만화가를 꿈꿨다고 한다. 엄희자의 인기를 증명하는 일화로 자주 등장하는 것이 당대 최고의 가수였던 이미자와 같은 금액을 받고 소속사를 옮겼다는 것이다. 인기나 수익뿐만 아니라 만화사적 계보도 탄탄하다. 최초의 만화학원으로 기록되고..
2019.01.28 -
박석환, <이스트아시아 판타지>의 작가 오연을 만나다, 서울문화재단, 2009.3.9
지금 이곳에서는 다시 상고사 열풍이 불고 있다. 물론 상고사에 대한 관심이 어제 오늘 일은 아니다. 80~90년대에는 동이족의 웅대한 기상을 서술한 역사서 (1979년 간)와 선인들의 수행을 중심으로 상고사를 소개한 김정빈의 소설 (1984년 간) 등 민족사 관련 서적이 불티나게 팔렸고 단학을 비롯한 각종 수련법이 유행했었다. 이를 바탕으로 종교가 성행하기도 했고 대학 강단을 민족사학자들이 차지하기도 했다. 하지만 민족사는 '지나친 민족주의와 국수주의' 그리고 위서(僞書)논쟁과 함께 제도권 진입에 실패한다. 2000년대 초에는 인기 만화가 이현세가 동이족(東夷族)의 신화를 재해석한 (1996년 1권 발행)를 발표했지만 원시사회의 동물적 성행위 표현 등을 문제로 검찰에 의해 기소됐고 10여 년간 법정 시비..
2019.01.28 -
박석환, 만화가 허영만, 김세영 vs 영화감독 최동훈 and 만화평론가 박석환, 랜덤하우스, 2007.4.3
만화 의 개정판 발간 기념 대담이 청담동에 있는 와인바 알리고떼에서 열렸다. 만화가 허영만, 스토리작가 김세영, 영화감독 최동훈씨가 자리했다. 허영만씨는 동아일보에 연재중인 의 취재 여행을 다녀오는 길이고, 김세영씨는 몇 년 전부터 독자적으로 스포츠투데이에 연재중인 의 원고를 마감한 후 자리했다. 최동훈씨는 동명의 영화 의 편집을 진행하던 중에 짬을 내서 참석했다. 장소 : 청담동 와인카페 알리고떼일시 : 2006년 8월 24일 21시대담 : 허영만(만화가), 김세영(스토리작가), 최동훈(영화감독)진행 및 정리 : 박석환(만화평론가) 와인 카페의 타짜들 박 : 허선생님이 추천한 장소라면서요. 대담을 진행하기에는 뭔가 좀 어색한데요. 그냥 쉬고 싶은 느낌의 장소입니다. 선생님 작품에 대한 추억만 이야기하다..
2019.01.22 -
박석환, 용하다용해의 만화가 강주배, 만화규장각, 2004.05.14
만화작가 강주배(1961년 생)는 1999년 「스포츠서울」에 연재를 시작한 직장인 소재 만화 『용하다 용해』가 인기를 끌면서 오랜 무명의 생활을 청산하고 주목받는 작가가 됐다. 1980년 독고탁 시리즈의 이상무 문하로 만화계에 입문한 강주배는 서울문화사의 ‘점프’ 계열 만화잡지에 연재를 시작하며 독자적인 작품활동을 시작했다. 1997년 서울문화사의 김문환이 독립하여 설립한 아선미디어 계열의 드림필드에서 무협소재 아동만화 『소년협객 용』을, 아선미디어에서 무협소재 청소년만화 『주먹』을 발표한다. 『소년협객 용』은 이상무 만화의 주인공 캐릭터를 부분적으로 사용하는 등 스승 격인 작가의 인지도와 후학으로서의 프리미엄을 활용했지만 별 성과를 얹지 못했다. 아동용이지만 무협만화라는 장르적 속성을 고려한 탓인지 거..
2019.01.16 -
박석환, 파이팅바람이의 김종한, 만화규장각, 2004.02.03
만화가 김종한(1967년 생)은 고3생 신분이던 1983년 허영만 문하에 입문, 1991년 만화잡지 ‘보물섬’에 단편 을 연재하며 데뷔했다. 90년대 초반 만화잡지 창간 붐이 조성되던 시기 허영만을 비롯한 몇몇 중견 만화가가 이른바 대본소계 ‘공장만화 창작 시스템’을 폐쇄했다. 만화잡지가 많아지면서 만화가의 수요가 늘었던 반면, 대본소계 만화의 생산이 중단 또는 위축되면서 급여창작자-유명작가 화실에서 배경 데생 등 특정 부분만 담당하는-의 일자리는 줄었다. 유명만화가의 작품 생산라인을 담당하며 안정적 생활을 유지하던 이들은 자의반 타의반으로 만화잡지 데뷔 신고식을 치르게 된다. 신고식에 성공한 일련의 만화가군은 90년대 한국 만화잡지의 전성기를 구축한 주도세력이 됐고 21세기 한국만화의 중추세력으로 안착..
2019.01.14 -
박석환, 칼새시리즈의 박인권, 만화규장각, 2004.02.03
만화가 박인권(1954년 생)은 1973년 만화계에 입문했고 1980년 로 데뷔했다(한 인터뷰에서는 1981년 작 을 데뷔작이라 했다). 1990년 대 중반부터 시리즈(200여 편), 시리즈(250여 편), 시리즈(100여 편) 등 초대형 규모의 연작 시리즈물을 발표하면서 이현세 허영만이 떠난 대본계 만화시장을 견인 해 온 대표적 만화가이다. 80년대 ‘만화대중화’의 기틀이 됐던 대본계 만화는 90년대 초입 위기를 맞이한다. 이현세와 허영만 등의 걸출한 스타작가를 배출한 이 시스템은 ‘공장만화’라는 내부 비판에 직면하며 두 스타작가를 놓치고 말았다. 또 동시기에 신인만화가 중심의 만화전문잡지 창간 붐이 일면서 대본계 만화의 전성시대는 한국현대만화사의 뒤편으로 물러서는 듯 했다. 그러나 이현세와 허영만이 ..
2019.01.14 -
박석환, '12지전사'의 손태규, 만화규장각, 2004.02.03
만화가 손태규(1967년 생)는 임재원 등과 함께 안세희(필명 안춘회 조남기) 문하를 거쳐 1986년 데뷔했다. 데뷔 이후 줄곧 소년만화-이른바 코믹스계 만화-를 창작해왔다. (1993년) (1993년) (1995) 등 200여 권에 달하는 작품 목록에서도 알 수 있듯 동시대 잡지 연재 작가군 중에서는 독특하게 다작 성향을 보이고 있다. 작품 소재와 설정에 있어서 자유도가 높은 코믹판타지 장르의 작품을 주로 발표했고, 빠른 상황전개와 특유의 순발력으로 잡지 연재만화와 전작 단행본 만화 양쪽에서 나름의 성과를 일궈냈다. 손태규 만화는 슬랩스틱과 패러디 그리고 흥미로운 인물 설정으로 대표된다. 에는 홍길동 로보캅을 비롯한 대중문화 스타 캐릭터가 총출동 한다. 은 서바이벌 게임에 등장하는 진동총 Air-gun..
2019.01.14 -
박석환, 파페포포 메모리즈의 심승현, 만화규장각, 2004.02.03
심승현(1972년 생)은 온라인이 잉태한 만화가이다. 그리고 라는 단 한편의 작품으로 오프라인을 석권한 만화가이다. 심승현의 출현은 동년배의 만화가들이 여느 만화잡지를 통해 데뷔했던 것과는 달랐다. 1994년부터 최근까지 애니메이터로 활동하며 ‘스파이더맨’‘배트맨’ 등의 원화 작업을 했지만 애니메이터 출신 만화가에서 찾을 수 있는 작화법도 아니었다. 심승현은 오프라인이라는 견고한 등단 시스템을 넘어서지 못했던 마이너리그 만화가 지망생에 불과했다. 아니 만화가를 꿈꾸지 않았던 애니메이터였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그는 지금 우리 만화계를 생각하는 이들이 가장 주목하고 있는 만화가가 됐고 그의 출세작인 는 2003년 주요 서점의 최고 베스트셀러가 됐다. 일반적인 코믹스계 만화가들의 100만부 판매 신화가 10권..
2019.0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