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154)
-
박석환, 수직으로 읽는 새로운 만화-영문 웹툰 사이트, 코리아나, 한국국제교류재단, 2016.봄호
칸의 예술 만화, 읽기 형식의 변화미국에 코믹북(Comicbook), 일본에 망가(Manga)가 있다면 한국에는 웹툰(Webtoon)이 있다. 웹툰은 웹사이트나 모바일웹에 게재할 목적으로 창작된 만화(Comics)를 의미한다. 20세기의 발명품이자 칸(cut)의 예술인 만화는 주 생산국가별로 대표 장르와 화풍, 전개방식, 출판형식 등에 있어서 큰 차이를 보인다. 그중 가장 두드러진 부분이 칸과 페이지의 구성과 읽는 방식이다. 미국만화는 가장 일반적인 형태의 ‘Z’자로 구성되어 있다. 독자가 좌에서 우로 칸 속의 글과 그림을 읽게 된다. 일본만화는 정반대인 'S'자로 구성되어 있다. 글과 그림을 우에서 좌로 읽어야 한다. 반면 한국만화계가 21세기에 발명한 웹툰이라는 새로운 만화장르는 ‘T’자로 구성된다...
2019.02.20 -
박석환, 레진코믹스 콘텐츠 운영정책에 대한 소고, 크리틱엠, 2016.07.05
방심위 vs 레진 ; 당신의 사이트를 받겠습니다 대표적인 전문웹툰플랫폼으로 성장한 레진코믹스((주)레진엔터테인먼트, www.lezin.com)가 방송통신심의위원회(이하 방심위)의 ‘사이트 차단과 해제 조치’ 과정을 통해 다양한 이슈를 양산하고 있다. 심의 당국의 통제 주의적 조치와 이에 따른 기업의 즉각적 대응 그리고 SNS를 통해 불거진 반대 여론, 당국의 차단 해제 조치에 이르는 과정은 역설적이게도 우리사회가 이 같은 사안에 대해 ‘절차적으로나 인식적으로 진일보’했음을 보여줬다. 하지만 이후에 진행된 법적인(?) 절차와 결과론적으로 얻은 ‘현재 상황’을 놓고 보면 개운하지 않은 부분이 많다. 지난 3월 24일 방심위는 ‘레진코믹스에서 청소년 접근 제한 조치 없이 음란물이 유통 된다’는 의견을 접수한다..
2019.02.20 -
박석환, 디지털 시대의 한국만화/ 웹툰 해외 수출 현황과 정책 과제, 2014만화산업백서, 한국콘텐츠진흥원, 2015.03.31
1. 디지털화 되고 있는 세계의 만화산업 세계적 회계 감사 기업인 PWC(Price Waterhouse Coopers)는 미국의 ICv2, 일본의 Oricon 등의 자료를 토대로 2013년 기준 세계 만화시장 규모를 88억3천6백만 달러로 추정했다. 이는 전년 대비 0.49% 감소한 수치이다. 2008년 이후 지속적으로 성장세를 보이던 만화시장이 2012년을 기점으로 감소세로 접어들 것이라는 전망이다. 세계 금융위기에 따른 소비 지출 감소, 사회문화 전반의 디지털화로 인한 출판만화 소비 감소 등이 주원인으로 꼽혔다. 디지털만화 시장이 큰 폭의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됐지만 시장규모가 큰 출판만화 시장의 감소세가 이어지면서 2017년까지 전체 만화시장 규모는 연 평균 0.6% 감소 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2019.02.20 -
박석환, 만화방 만화의 현주소, 2014만화산업백서, 한국콘텐츠진흥원. 2015.03.31
만화방 만화(대본만화)의 현주소 1. 만화산업분류 속 대본만화 만화산업 분야를 분류하는 기준은 다양하다. 그 중 일반적인 것이 업종별 분류이다. 정부는 만화산업을 만화출판업, 온라인만화제작유통업, 만화책임대업, 만화도소매업으로 나누고 있다. 중분류소분류비고만화출판업만화출판사만화잡지, 코믹스, 일일만화 등일반출판사(만화부문)교양만화, 학습만화 등온라인만화제작유통업인터넷/모바일만화 콘텐츠제작 및 제공 인터넷 만화콘텐츠 서비스 모바일 만화콘텐츠 서비스 만화임대업만화임대만화방, 만화카페, 대본소 등서적임대(만화부문)도서대여점만화도소매업만화서적 및 잡지 도매 만화서적 및 잡지 소매 인터넷서점(만화부문) 만화출판업의 경우는 잡지를 내는 만화전문출판사(만화잡지, 코믹스만화)와 단행본만 내는 만화전문출판사(코믹스만화)..
2019.02.20 -
박석환, 만화, 2015콘텐츠산업전망, 한국콘텐츠진흥원, 2015.01.03
포털웹툰 1천만 소비 시대의 명암 그리고 지금 이 곳의 만화콘텐츠 산업 전망 1. 2014년 결산 - 만화 소비 인구 1천만, 역대 최대, 임계점 도달 □ 포털 웹툰 플랫폼을 중심으로 만화산업 재편, 만화산업의 대중적 영향력 재인식. 만화 제작과 유통 환경의 전반적 디지털화로 창작과 소비의 글로벌 진출 급속화, 디지털 플랫폼 의존도 심화 문제와 부정 유통과 소비 문제는 지속관리 필요 ○ [해외] 디지털만화 사용자 1천만 시대를 연 포털웹툰플랫폼의 글로벌 전략 가시화- ㈜네이버는 웹툰 담당부서를 독립화 이전 단계의 조직인 셀로 승격(현재는 컴퍼니 인 컴퍼니로 독립화)시키고 관계사인 라인코퍼레이션, NHN엔터테인먼트의 해외 서비스망을 통해 시장 개척 추진. 스마트폰용 메신저인 라인을 통해 웹툰콘텐츠 유통과 ..
2019.02.20 -
박석환, 한국형 디지털만화 웹툰의 발전과 미래-윤태호와 미생을 중심으로, 창조산업과콘텐츠, 2014.11.01
글|박석환 (한국영상대학교 만화창작과 교수) 단행본 위주로 발전해온 만화 산업이 웹・모바일이라는 디지털 플랫폼을 기반으로 제2의 전성기를 맞았다. 포털 중심의 웹툰 플랫폼을 통해 만화는 그 어느 때보다도 폭넓은 인지도와 선호도를 확보하고 있으며, 그 가치를 드높이고 있다. 최근 가장 핫한 드라마이자 웹툰으로 주목받는 윤태호의 을 통해 한국형 웹툰의 발전과 앞으로의 방향성에 대해 살펴본다. 윤태호 작가의 웹툰 이 콘텐츠의 힘을 증명하고 있다. 2012년 다음 만화속세상에서 연재를 시작한 이 작품은 바둑기사를 꿈꿨던 청년의 직장 생활기를 그리고 있다. 연재 기간 중 누적 조회 수는 6억 뷰였고, 그해 ‘대한민국 콘텐츠대상’ 등 각종 상을 수상했다. 전 9권으로 출판된 단행본은 2013년 기준 50만 부가..
2019.02.19 -
박석환, 영상콘텐츠시대의 만화산업 또는 웹툰플랫폼, 엇지, 2014.04.23
웹투노믹스의 시대라고 해도 좋을 만큼 웹툰의 영향력이 거대해지고 있다. 한국 만화의 한 장르나 트랜드쯤으로 보는 시선도 있었지만 이제 웹툰은 '만화'를 품에 안을만큼 거대해졌다. 그리고 현존하는 모든 매스미디어와 어깨 싸움을 할 수 있을만한 수용자층을 확보했다. 그런 변화들이 즐겁다. 하지만 아쉬운 부분도 있다. 그중 '별에서 온 그대'와 '설희'의 법정 공방 문제는 이즈음에 우리 만화와 웹툰이 꼭 풀어야 할 과제로 보여진다. 도민준과 천송이를 사랑하지만 법정 싸움에 나선 강경옥 작가님과 설희를 지지하며 만화비평지 에 게재한 원고를 공개한다. 를 통해 보는영상콘텐츠시대의 만화산업 또는 웹툰플랫폼 1컷 - 의 만화가 정연식, 의 영화감독이 되다 신문만화 의 만화가 정연식이 어느 날 안정된 신문지면을 박차고..
2019.02.19 -
박석환, 한국형 세계만화 웹툰, 웹툰10년사, 국립중앙도서관, 2014.12.10
국립중앙도서관 웹툰체험전-올웹툰, 전시 서문 한국형 세계만화 웹툰한국의 IT환경이 탄생시킨 만화 ‘웹툰(Webtoon)’ 1. 정보통신강국 한국의 만화 1988년 서울올림픽 이후 한국은 빠르게 발전했다. 김영삼 정부(1993년~1998년)는 이를 ‘세계화’ 정책으로 확장했고 김대중 정부(1998년~2003년)는 ‘정보화’ 정책으로 체계화했다. 이 시기 한국의 문화산업은 세계와의 교류 협력을 확대하고 정보통신산업 발전에 따라 급격하게 변화된 매체 환경에 몸을 맞춰가고 있었다. 신문‧잡지, 인쇄‧출판분야에 주력했던 만화(Manhwa, Korean Comic book)산업 역시 1990년대 중후반부터 PC통신과 인터넷으로 유통망을 확장하며 ‘인터넷만화(Internet Manhwa)’ 세상을 열었다. 2. 인터..
2019.02.18 -
박석환, 10. 한국형 세계만화 웹툰 100선 - 옥수역귀신에서 잉어왕까지, 웹툰10년사, 국립중앙도서관, 2014.12.10
한국형 세계만화 '웹툰'연대순으로 보는 100편의 웹툰과 웹투니스타 ----------------------------------------------------------[10] 세계로 가는 웹툰, 세계의 만화 웹툰(2012 ~ 2013)- 기술융합형 웹툰, 제3지대 웹툰서비스 등 더 커진 웹툰 (91 ~ 100) ● 한국말을 담은 드라마나 K팝과 달리 웹툰은 한국어를 담은 유일한 엔터테인먼트 콘텐츠이다. 해외 여러나라의 이용자들이 웹툰으로 한국어를 배우고 있고 학습커뮤니티를 중심으로 한 번역커뮤니티가 형성되며 웹툰의 해외 유통이 확산됐다. 이와 함께 자연스럽게 웹툰의 공식 수출본 서비스도 확대되고 있다. 무빙툰 형식을 취한 멀티미디어 웹툰, 포털을 벗어난 독립형 웹툰 서비스 등도 등장하면서 웹툰의 미..
2019.02.18 -
박석환, 9. 한국형 세계만화 웹툰 100선 - 리버스에서 돌아온 럭키짱까지, 웹툰10년사, 국립중앙도서관, 2014.12.10
한국형 세계만화 '웹툰'연대순으로 보는 100편의 웹툰과 웹투니스타 ----------------------------------------------------------[9] 전통적인 만화장르를 품에 안은 웹툰(2011 ~ 2012)- 코믹스스타의 귀환, 종합만화플랫폼이 된 웹툰 (80 ~ 90) ● 포털웹툰은 이용층의 다양화와 함께 소재와 장르의 다양성을 강화해갔다. 이에 따라 웹툰에 대한 부정적 시각을 지니고 있던 이용층과 작가진의 참여가 이뤄졌고 웹툰에서는 제한적이라 여겨졌던 소재나 창작 방식, 연출법 등 다양한 만화장르가 총 집결하게 됐다. 포털웹툰 플랫폼은 이제 웹툰만이 아닌 한국만화 전체를 아우르는 종합플랫폼이 됐다. 80. 리버스, 임달영/이수현, 2011 네이버 만화http://comi..
2019.0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