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oks/저서(8)
-
박석환, 영화로 만들어진 한국만화, 커뮤니케이션북스, 2021(만화웹툰이론총서)
책소개 한국 최초의 만화 원작 영화는 1926년 개봉된 다. 1924년 ≪조선일보≫에 연재된 를 영화화 했다.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만화 원작 영화는 공백기를 맞았다. 1959년 개봉을 시작으로 등 인기 작가들의 만화가 영화로 만들어졌다. 강풀이 등장하면서 웹툰의 영화화도 가속되었다. 이 책은 개봉부터 2017년 가 1400만 관객을 동원하기까지 만화의 대중성과 영화의 상업성이 조화를 이룬 사례들을 살펴본다. 한국 만화가 원작으로서 걸어온 길을 정리함으로써 만화 산업의 변화를 전망해 본다. 에서 까지, 한국 만화 원작 산업의 역사 로 대표되는 할리우드의 만화 원작 영화의 돌풍이 거세다. 만화의 원천 소스로서의 가치가 전 세계적으로 확인되는 지점이다. 2008년 으로 시작된 마블 시네마틱유니버..
2021.05.13 -
박석환, 한국만화정전-신문연재만화편, 한국만화영상진흥원, 2019
이 책은 한국만화정전이라는 명칭으로 네이버지식백과에 게재 된 작품 소개 글 중 한국 근현대 신문연재만화 18편을 선별해 수록한 것이다. 최초의 한국만화로 꼽히는 이도영의 (1909년)부터 만화에 대한 첫 번째 정의를 담았던 , 밭 전자 형식의 4칸 만화를 제시했던 초대 공보처장 김동성, 한국 최초의 만화 원작 영화가 된 , 조선일보와 동아일보 간 경쟁을 촉발시켰던 안석주, 최초의 여성주의 만화로 볼 수 있는 등 근대만화와 현대만화의 출발점이 된 김성환의 , 스포츠신문연재만화의 새 틀을 제시한 , 1칸 만평의 새로운 전형을 구축한 박재동과 김상택, 신문만화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이끌어낸 과 등에 얽힌 이야기를 담았다. 1909년부터 1999년까지 한국 신문에 연재됐던 대표작 18편을 중심으로 한국의 근현대만..
2019.11.09 -
박석환, 웹툰콘텐츠플랫폼, 커뮤니케이션북스, 2018(만화웹툰이론총서)
200자평 웹툰은 한국에서 태어난 디지털 만화의 한 형식이다. 만화의 산업화와 디지털화가 충돌하던 21세기 초 만화계 외곽에서 등장했지만 지금은 한국 만화의 대표 형식으로 성장했다. 초기 웹툰은 다양한 지점에서 사용자 제작 콘텐츠의 한 유형으로 창작되고 소비됐다. 포털 사이트가 이들을 한 자리에 모으면서 웹툰 미디어가 만들어졌고 광고주 등 이해 당사자들에게 개방함으로써 독자적 생태계를 지닌 웹툰 플랫폼이 구축됐다. 여기서는 웹툰과 웹툰 플랫폼 비즈니스에 초점을 맞춰서 웹툰 산업 생태계의 역동성을 확인하고 강화, 발전시킬 방향을 모색하게 했다. http://www.yes24.com/24/goods/58038497?scode=032&OzSrank=2 http://www.aladin.co.kr/shop/wpr..
2018.01.09 -
박석환, 허영만, 커뮤니케이션북스, 2018(만화웹툰작가평론선)
200자평 처음부터 최정상의 만화가는 아니었다. 1974년 데뷔해 로 인기 만화가 대열에 합류했지만 1970년대에는 독고탁의 이상무, 1980년대에는 까치의 이현세가 정상에 있었다. 하지만 그는 지치지 않았다. 시대와 함께 저물지 않고 새로운 시대를 이끌어 냈다. 이후 , , 등을 발표하며 최고의 자리에 올랐다. 늘 2등이었기 때문에 한눈팔 시간이 없었다고 말한다. 그는 어떻게 한국인이 사랑하고, 편집자들이 신뢰하고, 만화가들이 닮고 싶어 하는 만화가가 됐을까? http://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128927414http://www.yes24.com/24/goods/57951262?scode=029 허영만한국인이 사랑하는 만화가, 편집자들이 신뢰하는 ..
2018.01.09 -
박석환, 만화리뷰쓰기, 랜덤하우스, 2008
도서정보 우리 시대 새로운 글쓰기 모델을 제시한다! 만화보다 쉽고 재미있는 만화 리뷰 쓰기!이 시대에 적합한 새로운 글쓰기 모델을 제시하는『세상 모든 글쓰기』시리즈. 각 분야마다의 글쓰기 주제를 다양하게 소개한다. 대입을 준비하는 수험생부터 일반 직장인까지, 누구나 쉽게 이해하고 실제에 적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실용적인 지침서이다. 실제 글쓰기에 필요한 핵심적인 사항들을 간단명료하게 정리하였다. 제18권《만화 리뷰 쓰기》. 만화 리뷰 쓰기는 시대의 변화와 함께 등장하고 있는 글쓰기 분야이다. 신문이나 잡지, 인터넷 매체 등 다양한 만화 리뷰 쓰기의 구체적인 실전 노하우를 전달한다. 단순한 만화 읽기를 넘어서 삶에 대한 통찰을 전달하는 만화의 새로운 가치를 독자들에게 알릴 수 있도록 가르쳐준다. 구매정보박..
2014.05.10 -
박석환, 코믹스만화의 세계, 살림, 2005
도서정보 1990년 주간만화잡지 시스템과 함께 성장한 코믹스계 만화에 대해 검토 한 책이다. , 와 함께 시작되어 한국의 청소년들을 열광의 도가니에 빠뜨렸던 코믹스 만화의 성공 과정과 최근 이슈를 대표적인 작품들을 통해 살펴본다. 개별 작품들에 대한 분석과 함께 그것이 탄생한 시대적 상황 등 미시적 관점과 함께 한국 코믹스 만화 시장의 미래를 위한 대안적 모색도 눈에 뛴다. 구매정보 박석환 저, 코믹스만화의 세계, 살림 간, 2005, 종이책 3,300원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985217 저자소개 박석환 1973년 전남 무안 출생. 청소년기에는 만화로 세상을 배웠고 대학에서는 문학과 방송을, 대학원에서는 문화연구와 기호학을 공부했다. 1..
2014.05.10 -
박석환, 잘가라 종이만화 - 디지털만화비즈니스, 시공사, 2001
도서소개 디지털 만화가 쏟아지는 그 생생한 현장에서 온몸으로 부딪치며 깨우친 디지털 만화의 실체에 관한 이야기. 디지털 시대의 도래에 따른 만화의 변화 가능성 및 디지털 만화에 대한 개념 정립을 바탕으로 디지털 만화의 제작 과정 및 비즈니스 모델을 살펴보고, 세계의 유명 만화 사이트들을 소개했다. 이어서 인터넷 콘텐츠 산업 현황을 통해 국내 인터넷 만화 사이트의 성립과 발전 과정을 분석하고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연계 방안을 위한 구체제의 문제점과 나름의 대안을 제시했다. 책정보 박석환 저, 시공사 간, 2001, 종이책 절판, 8,000원 종이책은 서울애니메이션센터의 저술 지원을 받아 출판됐다.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224273 저자소개 1..
2014.05.10 -
박석환, 만화시비탕탕탕, 초록배매직스, 1999
도서소개 한국만화문화연구원에 있는 저자가 풀어쓴 만화이야기. 1990년대 우리 만화의 현장을 실감나게 정리했다. 표절의 순수성과 한국만화, 우리 만화속의 일본 찌꺼기, 검열의 역사가 곧 만화의 역사였다 등 만화계 흐름을정리하고 김준범, 이현세, 백성민 등의 작품을 평했다. 구매정보 박석환 저, 초록배매직스 간, 1999, 종이책 15,000원 (현 절판)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90413 저자소개 지은이 박석환은 1973년 전남 무안에서 태어났으며 원광대학교 문예창작학과에서 수학 중이다. 1997년「스포츠서울」신춘 문예 만화 평론 부분에 당선했고,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우리만화역사전 큐레이터), 제8회 서울국제만화전 예심위원, 언더그라운드..
2014.0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