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1(6)
-
박석환, 인터넷 현황 및 콘텐츠산업, 잘가라종이만화, 시공사, 2001
인터넷 현황 및 콘텐츠산업 1. 인터넷 현황국내의 인터넷 사용자 수는 1994년을 기점으로 폭발적인 증가세를 보이면서 1999년 기준 1천만 명을 넘어섰다. PC통신의 대중화와 전 세계적으로 유례를 찾을 수 없는 PC방의 활성화 등은 인터넷이 정보기술산업(IT, Information Technology)을 기반으로 한 신 경제New Economy의 한 축으로서 뿐만이 아니라 우리 생활 전반에 놀랍도록 빠른 속도로 관계하고 있음을 증명한다. 인터넷이라는 네트워크의 탈 중심적, 개방적, 양방향 적인 특성이 플랫폼, 통신망의 급속한 발전과 함께 우리 생활의 깊숙한 영역에까지 콘텐츠라는 이름으로 진입하고 있다. IT 커뮤니티community와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아이비즈넷닷컴은 각 국의 공신력 있는 통계..
2019.01.07 -
[코코리뷰] 박무직 박석환 박성식 박창석 송년 대담, 2002년
새해를 여는 송년 대담 분야별 전문가 4인이 말하는 '2001년 만화계가 배운 것' 연말 분위기를 일깨우는 반짝이는 거리의 장식들과 함께 송년회 분위기가 슬슬 무르익어갈 즈음인 지난해 12월 19일, 코코리(KOCORI)에서는 소박하지만 의미있는 자리를 마련했다. 우리 만화계의 소문난 '일꾼(!)'들, 열정은 물론이거니와 부지런하기로 소문난 네 남자를 한자리에 초대해서 2001년 만화계를 결산하는 자리를 가진 것. 2001년 우리 만화계의 좌절과 성공, 숱한 실패와 그 속에서 걷어올린 값진 경험들을 그들 살아있는 현장의 목소리를 통해 들어본다. 만화작가, 온라인기획자, 잡지편집장, 유통책임자 등 만화계 각 분야에서 활발히 활동 중인 젊은 만화인들의 고민과 전망 속에서 새해 우리 만화계가 힘모아 일궈내야 ..
2014.05.10 -
[코믹존] 디지털 만화를 논한다, 2001
디지털 만화를 논한다 ! - 박석환 ‘디지털’이란 말이 각광받는 현대사회. 언제부턴가 대여점이나 대본소가 아닌 컴퓨터 모니터를 통해 만화를 보는 사람이 하나 둘 늘어나기 시작한 것을 보면 만화 역시 예외는 아니다. 컴퓨터 하드웨어의 발달과 초고속 통신망의 대중화가 빚어낸 디지털 만화. 그러나 너무 이른 것일까... 아직까지는 디지털 만화에 대한 적절한 이론서가 없었다. 그리고 바로 며칠전, ‘디지털 만화‘ 관련 서적이 출판되었다. 이에 국내외 최초의 ‘디지털 만화’ 서적 의 저자인 박석환 씨를 만나보았다. 잘가라, 종이만화! 수많은 만화 관련 서적들이 출판된 상태지만 ‘디지털 만화’ 관련 서적으로는 첫 출판인데, 어려운 점은 없었나요? “CD롬이나 PC통신을 통해 기존 출판만화를 디지털화해서 서비스해 온..
2014.05.10 -
[부산일보] 온라인만화 집중해부, 2001.10.20
인터넷 만화사이트 코믹플러스의 기획실장인 박석환 씨가 디지털 만화에 대한 현장 경험들을 기록한 '잘가라,종이 만화'(시공사·사진)를 냈다. 만화평론가로 98년 평론집 '만화시비 탕탕탕'을 쓰기도 했던 저자는 이 책을 통해 인터넷 시대를 맞아 만화의 의미에서부터 디지털 만화 제작의 노하우,비즈니스 모델과 국내 인터넷 산업 현황,향후 전망 등에 대해 207쪽에 걸쳐 기술하고 있다.제목 '잘가라, 종이만화'는 '출판만화의 존재 상실'이 아니라 '저만치 앞서가라'는 의미의 존중의 뜻이 담겨있다.'디지털 만화라는 새 매체가 출판만화의 위치를 대체하고 출판만화는 차별화된 전략상품으로 개발돼 더 앞서달라는 의미'라는 게 저자의 설명이다.
2014.05.10 -
[스포츠투데이] “온라인만화 새로운 시도 배울때”, 2001
“온라인의 만화서비스업은 오프라인의 출판 유통 네트워크와 소비 형태를 모방하는 한편 웹진, 플래시, PDA 등 새로운 형식을 출현시켰습니다. 이제 오프라인의 출판만화가 온라인의 새로운 시도에서 한 수 배워야 할 때입니다.” 최근 ‘잘가라,종이만화’(시공사)라는 다소 과격한 제목의 만화 이론서를 출간한 만화평론가 박석환씨(사진)는 이 책을 펴낸 의도를 이렇게 설명한다. ‘잘가라,종이만화’는 ‘디지털만화비즈니스’라는 부제가 말해 주듯 디지털만화와 디지털만화산업에 대해 쓴 국내 최초의 개론서. 저자가 인터넷 만화 포털 사이트 ‘코믹플러스’(www.comicplus.com)에서 기획실장으로 일하면서 얻은 풍부한 현장 경험을 살려 ‘디지털만화의 모든 것’을 한눈에 보여준다. 저자는 1996년 한아름닷컴의 ‘인터넷..
2014.05.10 -
[아이뉴스24] 만화포털사이트, 성인 ·일본물 강화 유료화,2001.02.06
지난해부터 인기를 얻고 있는 만화 포털 사이트들이 유료화를 단행하고 있다. 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최대 회원을 확보하고 있는 엔포(대표 김영주www.n4.co.kr )가 1월부터 유료화를 단행한 데 이어, 코믹스투데이(대표 조성진 www.comicstoday.com)가 올 4월경 유료화를 앞두고 있다. 또 코믹스플러스(대표 손상익 www.comicplus.com)가 오는 12일부터 성인 사이트인 어덜트코믹스(adult.comicplus.com)를 오픈하면서 유료화할 예정이다. 이들 3대 만화 포털 사이트들은 성인 및 일본 만화를 대폭 확대하는 한편,다양한 과금체계를 마련 유저들을 만족시킨다는 전략이다. 또 온라인 판권을 사들인 후 출판만화 업체와의 제휴를 통해 오프라인 진출도 꾀하고 있다. ◆ 일본·성..
2014.0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