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콘텐츠진흥원(13)
-
[보도자료] 재담미디어, 신진 웹툰스토리작가 17:1 경쟁률 뚫고 최종 6명 선정, 2022.12.08
웹툰 프로덕션 재담미디어(대표 황남용)가 11월 29일 합정동 사옥에서 ‘웹툰부트캠프’ 개소식 및 입소식 행사를 진행했다. 입소식 참석자들은 재담미디어가 한국콘텐츠진흥원과 함께 공개 모집한 신진 스토리 작가 육성 지원 사업의 최종 선발자 6인이다. 이번 사업은 웹툰스토리 창작 경험이 없는 신예 및 다른 분야 활동 작가 가운데 우수한 웹툰스토리 아이템을 제출한 이를 선정, 신진 웹툰스토리작가로 육성하기 위한 것이다. 최종 선발된 6인은 집필 장르 관련 전문가의 멘토링, 해당 분야에 특화한 웹툰PD의 프로듀싱과 매지니먼트, 웹툰그림작가와의 코워킹 과정 등에 참여해 5개월간 각 4화 분량의 웹툰을 개발할 예정이다. 올해 웹툰부트캠프 응모자는 105명으로 현직 방송작가, 영화시나리오작가, 소설가 등이 대거 참여..
2022.12.16 -
[보도자료] 재담미디어, 신진 스토리작가 육성 위한 웹툰부트캠프 참가자 모집, 2022.10.18
재담미디어가 한국콘텐츠진흥원이 지원하는 ‘2022 신진 스토리 작가 육성 지원사업’의 운영사업자로 선정됐다. 선정 사업은 ‘재담웹툰부트캠프’로 신진 스토리 작가를 공개 모집해 전문가들의 멘토링과 프로듀싱 하에 웹툰스토리를 개발하고 이를 원작으로 웹툰을 제작해서 실제 유통까지 진행하는 프로젝트다. 재담미디어는 인기 웹툰 등을 제작한 웹툰프로덕션이다. 전문PD 중심의 철저한 사전기획과 체계적인 제작 과정 관리, 지속적인 사후관리로 다수의 웹툰을 연재화, 세계화, 영상화 시킨 바 있다. 재담 웹툰부트캠프는 재담미디어가 보유한 ‘웹툰 콘텐츠 개발 및 관리 프로세스’를 사업의 취지와 목적에 맞게 개선한 프로그램이다. 공모를 통해 최종 선발된 신진 스토리 작가는 1단계 ‘웹툰 프로듀싱’ 과정, 2단계 ‘웹툰 프로젝..
2022.12.16 -
박석환, 양대 웹툰플랫폼의 시장 고착화와 웹툰산업 생태계 변화, 2019만화산업백서, 한국콘텐츠진흥원, 2020.05.29
1. 네이버와 카카오(다음) 현황 인터넷 미디어 리서치와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닐슨코리안클릭은 매월 국내 PC 웹사이트 순위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사용자 순위를 발표한다. 자사 서비스 이용패널을 표본으로 국내 인터넷 사용 행태에 대한 통계적 추정치를 제공하고 있다. 이 자료에 의하면 2019년 11월 현재 국내 최고 방문자를 기록한 PC 웹사이트는 네이버(naver.com)였다. 월간 순방문자 26,832,315명으로 88%의 도달률을 보였다. 2위는 다음(daum.net)으로 19,355,840명(도달률 63.5%)이었다. 유투브와 구글은 각각 3위, 4위였다. 반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분야에서는 카카오톡이 월간 순이용자 39,165,091명(도달률 97.2%)로 1위를 차지했다. 유투브(34,4..
2020.07.17 -
박석환, 만화 웹툰 콘텐츠 산업 2019년 결산 및 2020년 전망, 한국콘텐츠진흥원, 2020.03.13
2019년 결산 □ [기획/제작] 취향 클러스터, 만화·웹툰 콘텐츠 기획제작 다양성 주도 ◦ 1인 작가창작 시스템에서 스튜디오 창작 시스템으로 전환 - 웹툰은 작가 1인의 창의성과 순발력(최근 트랜드 수용, 독자와의 공감대 관리), 포털사이트의 플랫폼 전략(콘텐츠 수급과 유통 측면에서의 네트워크 효과, 생산측면에서의 주기성과 구독경제(Subscription Economy))을 기반으로 대중화 - 반면, 2019년 웹툰 시장은 기존의 1인 작가 시스템 의존성에서 탈피, 집단 창작 기반을 갖춘 스튜디오 창작 시스템을 수용하며 ‘사전 기획 개발 콘텐츠’ 강화 - 이에 따라 주간 연재 방식을 통해 대중성을 확보한 콘텐츠가 아니라 사전 기획 개발 단계에서 검증 된 요소(인기 웹툰작가의 신작, 인기 웹소설의 웹툰화..
2020.03.24 -
동남아 만화∙웹툰 마켓트렌드 및 진출전략 프로그램 후기, 2019.09.04
지난 9월 4일 한국콘텐츠진흥원 광화문 분원 컨퍼런스룸에서 진행된 “동남아 만화∙웹툰 마켓트렌드 및 진출전략” 프로그램의 사회를 맡았다. 이 프로그램은 '2019 만화 맞춤형 부스트업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기획됐고 더네트웍스(주)가 운영을 대행했다. 국내 만화웹툰 기업의 동남아 시장 진출을 지원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된 이 프로그램에는 최근 한국 웹툰산업계와 활발하게 교류하고 있는 베트남, 인도네시아, 태국의 디지털만화 플랫폼 기업이 참가했고 다수의 국내 기업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베트남 COMICOLA(코미콜라)의 공동창업자 VAN NGUYEN(반 응우엔), 인도네시아 CIAYO COMICS(찌아오 코믹스)의 최고경영자 VICTORIO PRIMADI(빅토리오 프 리마디), 태국 WECOMICS(욱비코믹..
2019.10.09 -
박석환, 고행석의 요절복통 불청객, Manhwa 100, 한국콘텐츠진흥원, 2008
제목 요절복통 불청객 작가 고행석 발표매체 - 장르 명랑, 스포츠 출판년도(1권) 1986 출판사 원정출판사 전체권수(완결유무, 완결년도) 4권(완결, 1987) 미디어믹스 사례 초판본(장미문고, 6권, 1984), 영역본(신영진출판사, 1권, 1990) 작가의 다른 작품들 무정객, 서울불청객, 폭풍열차, 왕불청객, 폭풍아, 굴뚝새(영화화), 전설의 야구왕, 도전자, 마법사의 아들 코리(TV애니메이션화), 악질, 최고악질 등 작가 소개 남성, 1948년 전남 여수 출생. 1972년 만화가 최경 문하로 입문, 박기준 문하에서 수련했다. 1981년 로 데뷔했지만 큰 반응을 얻지 못했다. 소년한국도서의 전속 작가로 일하면서 무협만화, 권투만화를 그리다가 1984년 을 발표하며 인기작가의 반열에 올랐다. 이후 ..
2019.02.18 -
[소식] 한국콘텐츠아카데미-웹툰플랫폼의 이해 온라인 강좌 개설
한국콘텐츠진흥원에서 운영하는 콘텐츠아카데미에 '웹툰플랫폼의 이해'라는 주제로 온라인 강좌를 개설했습니다. 강좌는 총3강으로 구성됐고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1강은 웹툰에 대한 이해 2강은 웹툰플랫폼의 현황과 특징 3강은 웹툰플랫폼비즈니스의 전망 많은 이용 바랍니다. ^6^ * 사진을 클릭하시면 동영상 강좌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2016.10.06 -
[보도자료] 문체부-콘진원 28일 `2016년 콘텐츠 10대 동향 발표, 2016.01.25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콘텐츠진흥원은 ‘제3차 K-컬처 정책포럼’을 28일 오후 2시 30분 코엑스 그랜드볼룸 101호에서 개최한다. 네이버문화재단이 후원하는 이번 포럼은 방송, 게임, 만화·웹툰, 애니·캐릭터, 음악, 융·복합, IT·CT 등 콘텐츠 업계 종사자와 학계 전문가, 일반인 등 200여명이 참석해 국내외 콘텐츠산업을 전망한다. [...] 오지철 전 문체부 차관 사회로 진행되는 종합토론에서는 이은규 팬엔터테인먼트 부사장(방송), 천삼 웹젠 실장(게임), 박석환 한국영상대 만화콘텐츠과 교수(만화·웹툰), 김시범 안동대 한국문화산업전문대학원 원장(애니·캐릭터) 등 분야별 전문가가 참석한다. [...] * 게재 매체 : http://www.etnews.com/20160125000188 문체부-콘진원 2..
2016.03.05 -
[한국경제] 한콘진, 한류 20년 빛낸 장르별 대표 콘텐츠 선정, 2015.10.20
**왼쪽부터 만화평론가 박석환 교수, 박종규 대원씨아이 본부장, 김영재 한양대 교수 [...] 한국콘텐츠진흥원(KOCCA․원장 송성각)은 네이버문화재단(이사장 오승환) 후원으로 이날 오후 2시 서울 강남구 코엑스 콘퍼런스룸 308호에서 '2015년 제1차 K-컬처 정책포럼(이하 포럼)'을 열어 7개 장르별 대표 한류 콘텐츠를 발표하고, 이를 토대로 한류의 지속 성장 및 확산을 위한 방안을 모색한다. 포럼에서는 방송, 게임, 출판만화, 웹툰, 애니메이션/캐릭터, 음악, 공연 등 7개 장르를 대상으로 각 분야별 전문가 10명의 심층조사와 일반인 1,000여명의 선호도 조사(한국리서치 MS 패널을 이용한 웹조사) 결과를 합산해 각 장르별 상위 5개 콘텐츠가 선정돼 발표한다. 방송 분야에서는 , , , 등 대표..
2015.10.25 -
[상상발전소] [2013 한국만화원화전] 컷스틸러-칸을 훔치는 사람들이 찾아온다!, 2013.12.20
‘씬 스틸러(Scean Stealer)’라는 단어를 아시나요? 씬 스틸러란 흔히 영화를 보다 보면, 주연은 아니지만 감초같은 매력으로 관객에게 강렬한 인상을 남긴 캐릭터와 배우를 뜻합니다. 그런데 이 ‘씬 스틸러’에서 착안한 ‘컷 스틸러’들이 모인 한국만화원화전의 개막식이 열린다고 하여 다녀왔습니다. [중략] 한국 영상대학의 박석환 교수님의 갤러리에 걸린 만화 원화들에 대한 설명을 들으며 관람을 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아무것도 모르고 보는 것보다 설명을 들으니 더욱 감탄이 일었습니다. 김형배 작가님의 은 SF와 밀리터리가 합쳐진, 국내 최초의 만화이자 선구적인 만화였다고 하네요. [하략] 글/ 한국콘텐츠진흥원 상상발전소 기자단 박현주 ‘씬 스틸러(Scean Stealer)’라는 단어를 아시나요? 씬 스..
2014.05.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