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기호(3)
-
[미디어오늘] 하루 천만 독자, 웹툰이 하는 걸 출판은 왜 못하나, 2015.08.06
[기고] 한기호 한국출판마케팅연구소 소장… "달라진 플랫폼, 여긴 작법부터 다르다" [...] 새벽에 ‘기획회의’ 397호를 읽었다. 이제 내가 만드는 잡지 같지가 않다. 내 글도 들어 있지만 왠지 생소하다. 깔딱 고개를 수없이 넘지 않고 헬리콥터를 타고 산의 정상에 오른 기분이랄까? 특집이 “바야흐로 웹툰 전성기다”다. 활동 작가 2000명, 1일 1000만 독자 시대를 연 웹툰을 다뤘다. “2018년 국내 만화산업 매출 1조 원 시대”라는 이야기도 나온다. 그때 단행본 시장 전체 매출이 1조원이 될까? 웹툰을 게재하는 매체가 40여개란다. 해외 시장에서도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단다. 특집의 총론「왜 사람들은 웹툰에 열광하는가」를 쓴 만화평론가 박석환은 웹툰의 ‘무료 가격 정책’과 관련해 다음과 같이 정..
2015.10.25 -
[문화일보] 21세기 한국사회 新키워드-‘脫’‘마니아’‘UCC’…시대 급류, 2007.05.26
미래의 가족 핵가족 넘어 다양한 분열과 융합 21세기 한국은 지금 어디로 흘러가고 있는 것일까. 눈이 핑핑 돌아갈 정도로 급변하는 디지털 시대에 우리네 삶은 지금 세계사의 흐름 어디에 위치하며, 어디로 가고 있는지 불안하기조차 하다. 이 같은 불안의 시대에 한국출판마케팅연구소(소장 한기호)가 격주간 출판소식지 ‘기획회의’ 200호를 기념, 특집으로 다룬 ‘키워드로 읽는 한국 문화의 지형도’는 많은 것을 시사한다. 단순히 출판산업의 동향을 읽는 수준을 뛰어넘어 한국 문화, 나아가 한국 사회가 현재 어떤 지점에 와 있으며, 앞으로 어떻게 바뀔 것인지를 점검할 수 있는 단초를 제시하고 있다. ‘마니아 문화’, ‘1인 미디어’, ‘미래의 가족’, ‘미술품 쇼핑’, ‘인터넷 만화’, ‘탈(脫)민족’, ‘잘 죽음’..
2014.05.10 -
김기봉 외, 29개의 키워드로 읽는 한국문화의 지형도, 출판마케팅연구소 , 2007
도서소개29개의 문화현상이 어우러진 ‘살아 숨쉬는 실시간 한국 문화’의 지도! 한 권의 수익이나 한류붐의 대명사인 가수 비나 보아의 연수입이 대기업이나 중소기업의 한 해 매출을 능가하는 것을 알고 있는가? 최근 문화상품 하나가 창출하는 부가가치가 다른 산업에 부럽지 않을 정도가 되었다. 이제 문화도 국가경쟁력이다. 앞으로 한국 문화의 지형도를 살펴보는 것은 미래 경쟁력을 미리 점쳐보는 계기가 될 것이다. 『29개의 키워드로 읽는 한국문화의 지형도』는 우리 문화의 분야별 대표 키워드 29개를 중심으로 한국 문화의 오늘과 내일을 살피며, 10년 후 한국 문화의 지형도를 그려본다. ‘비언어 퍼포먼스, 미술품 쇼핑, 인터넷만화, 드라마, 저작권’ 등 문화 각 영역의 변화와 생활상 변화에 초점을 맞추어 선정한 키..
2014.0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