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몇 년 새 맥이 끊긴 만화비평지가 다시 부활했다. 상명대 만화디지털콘텐츠학부가 펴낸 연간지 ‘만화비평’ 창간호가 반가운 이유다.
한국 만화 100년을 점검하는 특집으로 구성됐고, 저평가 받는 만화에 대한 사회 인식과 만화의 교육적 가치, 학교 만화 교육 등의 내용을 담은 창간호에는 박재동 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 박창석 만화평론가, 김창남 대중문화평론가, 백무현 서울신문 화백 등 20여명이 필진으로 참여했다. 1980년대 만화운동을 펼쳤고, ‘농사짓는 만화가’로 널리 알려진 장진영 상명대 교수가 책임편집을 맡았다.
만화 평론은 꾸준히 유지돼 왔지만 만화 비평을 위한 독립적인 매체는 드물었다. 1987년 ‘만화와 시대1’이 반짝 출현했다가 사라졌고, 2003년에 ‘계간만화’가 등장해 8호까지 나오다가 중단됐다.
장 교수는 “오랫동안 만화에 대한 인식이 좋지 않았고, 때문에 만화에 무슨 비평이냐는 냉소적인 반응도 있었다. 하지만 주목받는 대중예술 영역으로서 당연히 비평이 있어야 한다. 요즘 만화를 수익성과 부가가치 창출 등으로만 주목하는데 꿈과 용기와 희망을 주는 매체로서 그 의미와 작용을 깊이 있게 다루는 작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역시 중요한 것은 지속성이다. “만화 전공 학과가 만들어진 게 벌써 20년이다. 많은 졸업자들이 만화계 각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다. 대학원 과정도 있어서 연구 역량도 꽤 축적됐다. 대학이라는 안정적인 공간과 연구 역량이 있기 때문에 지속성이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앞으로 여건에 따라 일년에 두 차례 발간도 고려하고 있다.” 겨우 3개뿐이지만 광고를 따내는 게 가장 어려웠다고 웃는 정 교수는 창간호가 한국 만화 100년에 대한 평가에 치중하다 보니 무거운 글로 채워졌다고 아쉬워했다. 앞으로는 독자들이 편하게 볼 수 있는 내용도 싣고, 상명대에 국한되지 않는 공개 편집위원회를 꾸려 다양한 세대의 목소리도 담겠다고 했다.
“문학 하면, 무엇인가 배울 만한 것이 있다는 인식이 있다. 그런데 만화에는 볼 만한 가치가 있다는 식의 긍정적인 이미지가 없다. 작가 의식이 있기는 하냐고 의심하기도 한다. 만화가들이 충분한 현실 인식을 갖출 때 만화는 예술이 된다. ‘만화비평’이 만화의 위상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됐으면 한다.”
만화계의 반응은 긍정적이다. 박석환 한국 만화영상진흥원 콘텐츠비즈니스팀 수석은 “최근의 만화 비평은 짧은 리뷰 이상의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는데 이론 비평을 담을 수 있는 공간을 지닌 ‘만화비평’이 규모 있는 의제를 설정하고 방향성을 개진하는 본격적인 비평의 시대를 여는 역할을 해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홍지민기자 icarus@seoul.co.kr
글에 남긴 여러분의 의견은 개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