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cument/논문 · 2019. 1. 30.
박석환, 만화100년 10개의 명장면, 월간미술, 2009.07.01
1. 이도영, 한국만화의 표현 기법과 수사법을 찾아내다 한국만화의 탄생은 일본의 반 식민지 상태였던 1909년 6월 2일 창간된 와 함께 한다. 서화가 출신의 젊은 애국지사였던 이도영이 ‘삽화’라는 제목으로 일제에 의해 매체가 강제 폐간 될 때(1910년 8월 31일)까지 현재적 의미의 시사만화를 연재했다. 첫 회 연재분은 의 창간 취지를 설명하는 홍보용 일러스트로 볼 수 있으나 단순화된 인체 묘사와 과장된 표정, 말풍선 역할을 하기도 하고 시간의 경과를 나타내기도 하는 ‘네 줄의 선’ 등은 이 작품을 현재적 의미의 만화로 꼽기에 손색이 없게 만든다. 특히 2회 연재분부터는 당시 시국상황을 통렬하게 비판하는 본격 시사만평을 선보였다. 이도영의 작품에서는 칸나누기, 동작선, 말풍선의 응용 등 다양한 표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