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석환, 한국 현대사의 산 증인 고바우 영감-김성환, 다음백과, 2015

출처-디지털만화규장각

 

요약

 

한국의 만화가. 1932년 황해도 개성에서 태어났다. 1949연합신문멍텅구리를 발표하며 데뷔했다. 1950사병만화고바우영감을 발표한 후 동아일보’ ‘조선일보’ ‘문화일보에 동명의 4컷 시사만화를 매일 연재했다. 14,139회를 연재해 최장수 연재만화로 기네스북에 등재되기도 했다. 시사만화가로 알려져있지만 소년만화 꺼꾸리군 장다리군, 아동만화 소케트군도 큰 인기를 끌었다. 2001년 고바우만화상을 제정해 후배 만화가들을 격려하고 있다. 2002년 보관문화훈장을 수훈했다. 2013년 고바우영감 원화가 등록문화재로 지정됐다.

 

작품연보

 

1949. ‘연합신문멍텅구리게재

1950. ‘사병만화고바우영감첫 발표

1951. ‘만화신보고사리군발표

1953. ‘학원꺼꾸리군 장다리군발표

1955. ‘동아일보고바우영감연재(7,981회 까지)

1966. ‘소년동아일보소케트군연재(3,550회 까지)

1973. 고바우 전집(10)

1980. ‘조선일보고바우영감연재(11,700회 까지)

1987. 고바우 현대사(4)

1991. 소케트군(5)

1992. ‘문화일보고바우영감연재(14,139회 까지)

1995. 소케트 만화일기

1996. 못말리는 정치 못말리는 대통령

2005. 나의 육필 까세집

2005. 판자촌 이야기

2006. 고바우의 잡학백과

2006. 고바우 김성환의 편편상

 

주요 영상화 작품

 

1959. 고바우 (영화)

1977. 고교 꺼꾸리군 장다리군 (영화)

 

MBC뉴스투데이 방송화면 갈무리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을 겪은 소년 만화가

 

김성환은 일제강점기였던 1932년 황해도 개성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김동순은 1919년 김상욱 등과 함께 의열단을 조직해 부단장으로 활동했던 인물이다. 창덕궁 인근에서 변복한 일본 형사들에 잡혀 무기징역을 선고 받고 청진감옥에 10년 가까이 투옥한 끝에 출옥했다. 활동이 여의치 않게 되자 김동순은 가족과 함께 만주로 이주해 귀농조합을 결성하고 가족과 동포들의 생계를 책임지기도 했다. 하지만 이 일로 만주국에 협력한 친일파로 몰려 대한민국 건국 후 유공자가 되지는 못했다.

김성환은 만주에서 돈화국민우급학교와 지금의 중학교 격인 길림6고를 다녔다. 해방이 되던 194511월 경 서울로 내려와 지금의 고등학교 격인 경북중학교에 다녔다. 만주에서는 제법 유복한 생활을 했지만 재산 한 푼 없이 내려온 서울 생활은 몹시 궁핍했다. 몸 누일 공간도 없어서 여기저기 빈방을 수소문해가며 남의 집 살이를 했다. 막 일을 하러 나간 부모님을 기다리느라 혼자 있는 시간이 많았던 김성환은 방바닥이나 흙바닥에 매일 그림을 그렸다. 만주에 있을 때부터 그림 잘 그린다는 소리를 들었던 김성환은 서울에 와서도 금방 그림 실력을 인정받았다. 교내 대표로 전국학생전시회에 작품을 출품하기도 했고 미술부 부장을 맡기도 했다.

회화가 주였지만 만화에 대한 관심도 높았다. 당시 신문에는 김규택의 정만서김용환의 깡통여사등의 만화가 연재됐다. 하지만 몇 회 실리고 사라지기를 반복했다. 김성환은 자신이 직접 만화를 그려봐야겠다고 생각하고 당시 연합신문멍터구리라는 제목의 네칸만화를 그려서 투고했다. 첫 작품부터 반응이 좋았다. 신문사 부장이 직접 집으로 찾아와 학비를 대주겠다며 만화를 계속 그려달라고 했다. 얼마 지나지 않아 김성환은 만화계에 이름을 알리게 됐고 선배 만화가 김용환이 편집을 맡았던 화랑잡지의 전속만화가가 된다. 열일곱 나이에 당시 돈으로 매달 1만원씩을 받는 프로작가로 데뷔하게 된 것이다. 가족의 생계를 책임질 수 있게 되자 궁핍한 생활이 끝나는가 싶었는데 얼마 되지 않은 1950625일 한국전쟁이 벌어졌다.

북한군이 내려오면서 젊은 사람들은 인민의용군에 끌려갔고 그림을 그릴 줄 아는 사람들은 조선미술동맹에서 북한군 선전 만화를 그려야 했다. 자신의 의지와 다른 만화나 그림을 그려야 한다는 사실에 공포를 느꼈던 김성환은 남들이 찾을 수 없는 다락방에 숨어 지냈다. 1950928일 국군이 서울수복에 성공하자 다시 바깥 활동을 재개했다. 윤효중(조각가) 등이 발행한 만화신보에 참여했고 신태양’ ‘희망’ ‘학원등에도 작품을 실었다. 또 김병기 화백의 추천으로 국방부 정훈국 미술대에 근무하면서 계몽포스터와 삐라, 주간만화잡지 만화승리’ ‘육군화보등에 참여했다. 당시 미술대 내에는 화단의 중진들로 구성된 종군화가단이 결성되어 있었는데 김성환은 이들과 함께 생활하면서 작품 내외적으로 많은 영향을 받았다.

 

전쟁의 참혹상을 기록하고 현실을 위로했던 만화가

 

김성환은 전쟁 통에 숨어 지냈던 다락방에서 200여 명 이상의 만화 캐릭터를 만들어냈다. 전쟁통이었고 언제 죽어도 이상하지 않을 상황이었지만 미래에 그릴 만화 작품의 주인공을 그렸다. 김성환을 대표하는 고바우 영감역시 이 시기에 스케치해뒀던 캐릭터였다. 하지만 전쟁통에 김성환이 그려야 했던 그림은 북한군의 만행을 비판하고 국군의 활약상을 과장되게 알리는 각종 선전만화와 삐라가 전부였다. 자신이 창조한 캐릭터를 충분히 활용할 수 없는 작품뿐이었다. 이 같은 작업에 환멸을 느끼기도 했던 김성환은 수차례 미술대원으로서의 임무를 회피하기도 했다. 하지만 국군과 함께 전국을 떠돌면서 목격했던 전쟁의 참혹상을 화폭에 담는 일만큼은 놓지 않았다. 흑백사진으로 담을 수 없는 당시의 상황과 분위기를 김성환은 한 장의 스케치로 충실하게 기록했다. 그러는 중에도 창작만화에 대한 열정을 놓지 않았다.

1951년 대구에서는 소설가 방기환과 함께 '도토리용사'라는 아동만화를 그려 호평을 받았다. 남향문화사에서 발행한 '사육신', '도마스목사얘기' 등도 좋은 반응을 얻었다. 특히 붓으로 작업했던 '사육신'을 보고 당대의 동양화가 청전 이상범이 찬사를 보냈다는 일화가 유명하다. 1952년에는 시인 김소운 등과 함께 성인만화잡지 형식을 취한 만화만문전람회’, ‘만화천국을 도맡아 발행했다. 1953년에는 학생잡지 학원'꺼꾸리군 장다리군'의 연재를 시작하면서 본격적인 창작만화를 발표했다. 이 작품은 아동교양만화나 성인을 대상으로 한 시사만화 일색이던 당대의 만화계에 큰 화제를 불러왔다. 독특한 개성을 지닌 두 친구의 학원 생활기를 연재물 형식으로 그렸다는 것도 종래에 볼 수 없었던 시도였지만 청소년 독자를 중심으로 했다는 점도 특이했다.

1954년에는 성인들을 대상으로 한 만화집 세태만상캐리카튜어를 연 이어 발표했다. 당시 경향신문은 이 단행본을 성인을 위한 최초의 만화책으로 간주하고 혼란과 무질서로 황폐한 오늘의 기류를 위한 예리한 비평의 메스가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김성환은 같은 해 경향신문막동이를 연재한 후 1955동아일보고바우 영감을 발표했다. 이후 세모돌이 네모돌이’ ‘소케트군’ ‘빅토리 조절구등을 발표하며 아동, 청소년, 성인에 이르는 전 연령층을 독자로 한 만화가가 됐다.

 

절대 권력에 맞서 50년 간 전쟁을 치른 시사만화가

 

김성환을 대표하는 고바우 영감1950년 육군본부가 발행한 사병만화에 첫 선을 보인 후 195521동아일보연재를 시작으로 조선일보’(1980년부터), ‘문화일보’(1992년부터)를 거치며 50년 간 총 14,139회 연재된 최장수 4칸 시사만화이다. 작은 키에 안경을 쓰고 콧수염을 기른 고바우 영감은 뾰족 솟은 머리칼 한 올로 감정을 표하고 수염에 가려진 입으로 지배 권력을 비판했다.

초기에는 무언만화 형식의 유우머에 집중했으나 이내 정치사회문화 전반에 대한 풍자와 날 선 비판이 주류를 이루며 김성환만화=고바우영감이라는 등식이 만들어 졌다. 성과와 과오에 대한 논란은 여전하지만 419민주혁명으로 막을 내린 이승만 정권, 516군사정변과 1212군사정변으로 집권한 박정희, 전두환 정권으로 이어졌던 한국의 현대사는 부정하기 어려울 만큼 혼탁했다. 한치 앞을 예단하기 어려운 시기를 고바우 영감은 특유의 걸음으로 돌파했다. 어느 사이 영감은 우리 사회의 권력과 비민주적인 것에 맞서 싸우는 투사가 됐다.

1958128일자 동아일보는 김성환이 서울시경에 불려가 심문을 받았고 같은 해 123일자에 그린 고바우 영감만화로 인해 입건 될 수 있다는 기사를 게재했다. 만화 내용이 국가에 대한 조롱이 담겨있고 불순하다는 이유로 경범법 위반 처분을 받았다는 것이다. ‘동아일보신문만화가 본시 사회풍자를 지향하는데다가 만화 자체가 과장된 표현을 사용하는 것인데도 이를 악의적으로 곡해하고 수사기관에서 입건하려는 태도를 보이고 있는 점은 선거 대비용이라 논하며 어디까지나 사회의 어지러운 현상을 풍자를 한 것이지 경무대를 모욕할 의사는 추호도 없는 것이며 또 결과적으로 모욕이 됐다고도 생각하지 않는다는 김성환의 입장을 전했다. 벌금형으로 끝난 이 사건 이후로도 김성환과 고바우영감>은 권력의 북이라도 되는 양 시시때때로 두드려 맞았다. 하지만 고바우의 머리털이 구부러질지언정 김성환과 영감님은 이를 피하지 않았다. 탄압이 있으면 또 그 사건을 만화화하는 방식으로 절대권력과의 싸움에 물러섬이 없었다.

고바우가 인기를 끌면 끌수록 정부의 검열과 통제 수위도 높아졌다. 경무대(당시 청와대)의 절대권력을 비판하는 만화나 재벌그룹을 위한 법 개정을 비판하는 만화로 인해 즉결재판과 벌금형을 받기도 했고 군사정부를 비판한 내용으로 인해 괴인들의 미행, 정보부 요원들에 의한 취조와 공갈 협박 등을 받기도 했다. 1963AP통신이 말을 함부로 못하게 된 한국인이라는 제목으로 고바우를 소개하고 군사정부의 언론탄압 소식을 전하면서 고바우는 국내외로부터 주목 받는 만화 주인공이 됐다. 이후 군사정부의 탄압은 더욱 심해졌고 고바우가 신문에 실리지 않는 날은 한국에서 특종이 터지는 날(무언가 정부가 감출 일이 생긴 날이라는 의미)’이라는 말이 외신기자들 사이에서 떠돌기도 했다. 고바우는 그렇게 한국 현대사에서 발생한 14,139건의 정치사회적 사건사고를 풍자하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그 중 백미는 1960427일자 동아일보에 실린 만화이다. 이승만 대통령이 하야를 결의했다는 기사가 1면에 실린 이날 고바우영감’(1840)은 달라질 세상에 대한 안도의 한숨과 함께 검열제가 철폐되어 이젠 나를 찾았는데/ 그동안 많이 상했구나.’라며 기대 또는 또 다른 걱정이 담긴 한마디를 내 뱉는다. 이를 4칸 안에 담기 위한 연출 방식 역시 돋보인다. 점점이 사라졌던 고바우의 모습이 원상태로 돌아오지만 마지막 컷 속에서 거울을 보는 고바우는 이미 만신창이가 되어 있다. 그런 일이 반복되기를 또 십 수 년, 반백년을 한국 현대사의 격변기와 싸웠던 고바우는 2000문화일보를 통해 마지막 인사를 하며 고바우 또는 김성환이 걸었던 길을 묘사한다. 그 혹독했던 시기를 춘풍(春風)’이라 했고 추우(秋雨)’라 기억하며 사람들의 건강을 빌었다.

문화일보’ 2000929일자로 고바우 영감의 연재를 종료한 김성환은 이후 풍속화가로 더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시시비비를 가릴 일 없는 과거의 한 시기를 정밀한 기억과 고증으로 풀어 낸 풍속화 연작, 인생의 참 의미와 가치에 대한 메시지를 담은 서화 등을 다양한 기법으로 그려내고 있다. 1956년 현대만화가협회 초대 회장을 지냈고 1992문화일보상무이사 대우로 직업 만화가로서의 역할을 완수했다. 1990년 언론학회 언론상, 1997년 한국만화문화상, 2002년 보관문화훈장을 수훈했다.

 

우리 시대를 만든 큰 어른

 

시인 고은은 저 유신 시절/ 며칠 동안 아무도 모르게/ 고바우는 끌려갔다/ 우리는 그가 어디 있는가 모른 채/ 그의 빈칸 신문을 넘겨야 했다네 칸 짜리 고바우로/ 우리는/ 우리 자신의 시대를 이루었다고 노래했다. 문학평론가 이어령은 1973년판 고바우영감’(한국만화사, 5) 발간 시 고바우는 우리 국민들의 한숨 속에서 자라났다. 그리고 고바우는 한국인의 애환과 분노와 사랑의 화신이다. 우리는 고바우의 웃음소리가 들리는 동안 외롭지 않을 것이라고 적었다. 이처럼 김성환은 고바우를 통해 우리 자신의 시대를 만들었고 국민과 함께 오늘을 향해 걸어 왔다. 1955년 문화교육출판사에서 고바우영감첫 단행본이 발행된 이래 한국문화사, 세기출판사, 고려가, 신원문화사 등에서 고바우영감연재물을 중심으로 한 단행본이 발행됐다. 1958년에는 김승호 주연의 영화 고바우가 개봉됐고 1976년에는 일본에서 연재물을 수록한 작품집이 발행되기도 했다. 1977년 미국의 파울 드레즈 교수가 고바우의 언어라는 논문으로 하버드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기도 했다. 정권의 탄압도 많이 받았지만 민주화 이후에는 공공기관의 관심도 많이 받았다. 1996년 국립중앙박물관에 개인전시실이 상설로 설치됐고 2000년에는 고바우 50주년 기념우표가 발행됐다. 2001년에는 한국기네스북에 최장수 연재만화로 등재됐고 같은 해 본인과 지인들의 출자로 고바우만화상이 제정되기도 했다. 2013년에는 고바우영감 원화가 등록문화재 제538호로 지정됐다. 2013년 대한민국역사박물관은 고바우영감원화 7,600여 점을 일부 기증 방식으로 구입했다. 김성환은 이에 따른 수익 중 현금 1억원과 사후 인세 전액을 사회복지공동모금회에 기부하고 1억원 이상 고액기부자 모임인 아너 소사이티와 유산기부 회원모임인 레거시클럽에 가입했다.

 

이미지 맵

Parkseokhwan

만화평론가 박석환 홈페이지. 만화 이론과 비평, 웹툰 리뷰, 인터뷰, 보도자료 등 게재

    'Critique/피플' 카테고리의 다른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