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니투데이] 웹툰 전성시대, 시장도 쑥쑥!,2012.10.23

작가-소비자 정서적 합일치로 폭풍성장
콘텐츠 판권 보호 과제로

‘88만원 세대’의 대표적인 아르바이트 장소 편의점. 이곳에서 일하는 대학생들의 애환을 다룬  지강민 작가의 <와라! 편의점>은 TV애니메이션과 게임으로 제작돼 폭 넓게 사랑 받고 있다. 비정규직과 외국인 노동자 문제 등을 녹여낸 김규삼 작가의 <쌉니다 천리마마트>는 게임에 이어 시트콤 제작을 준비 중이다.

 

‘고작 만화’가 아니다. 짧은 몇 컷으로 이뤄진 웹툰의 깊이 있는 시선이 여론을 이끌기도 하고, 게임이나 영화 등에 풍부한 이야깃거리를 제공해 주는 원천이기도 하다. 최근에는 관공서나 기업의 홍보 만화나 광고에 웹툰이 등장하는 횟수도 잦아졌다. 2012 대한민국에서 웹툰의 영향력은 이토록 막강하다.

 

그렇다면 '웹툰 시장'은 어떨까. 웹툰의 역할이 늘어갈수록 그 경제적 가치는 얼마나 커지고 있는지, 웹툰 경제학을 살펴봤다.

 

 

◆ 만화-인터넷 만나 새시장 창출

 

웹(web)과 카툰(cartoon)의 합성어인 웹툰은 쉽게 말해 ‘인터넷으로 보는 만화’다. 단순히 기존의 출판 만화를 스캔해서 인터넷으로 보여주는 방식이 아니라, 처음부터 인터넷을 통해 만화를 보는 데 목적을 두고 제작된 만화라 할 수 있다.

 

웹툰과 기존 만화의 차이점 역시 이 같은 출발점에서부터 갈린다. 기존의 만화가 책장을 옆으로 넘겨 보는 방식이라면 웹툰은 아래로 이야기가 진행된다. 독자들이 마우스를 통해 쉽게 내려 읽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야기를 전개해 나가는 방식도 많이 다르다. 웹툰은 인터넷 서핑을 즐기다 쉽고 가볍게 읽을 수 있도록 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초기 인기작들의 경우 대부분 이야기는 단순하게, 개그 요소를 적절히 버무려 독자들의 웃음을 유발했다. 그림체가 다소 어설프더라도 상관없다. 독자들이 쉽게 찾아 읽고 공감할 수 있으면 그만이다.

 

웹툰의 진화 역시 ‘인터넷으로 보여진다’는 특성을 빼놓고 얘기할 수 없다. 다이어트부터 시사, 환타지까지 소재 역시 전문화·세분화되는 추세다. 댓글을 통해 작가와 독자의 소통이 직접적이고 가까워지면서 독자의 취향이나 의견이 작품에 바로 바로 반영된 결과다. 아래쪽으로 시선을 뚝 떨어뜨리는 연출기법 등 이야기 전개에서도 인터넷 독자의 특성이 십분 활용된다.

 

웹툰의 파급력이 커지면서 기업의 광고나 이벤트 등에 웹툰을 활용하는 사례도 늘어나고 있다. 최근에는 LG유플러스에서 070플레이어 서비스의 홍보를 위해 웹툰 공모전을 진행한 바 있다. 영화 <늑대 소년>은 거꾸로 영화 홍보를 위해 웹툰을 제작했다. 영화를 보기에 앞서 작품의 감성이나 분위기 등을 웹툰으로 먼저 친숙하게 다가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박석환 한국만화영상진흥원 전략기획팀장은 ““웹툰을 그리는 창작자와 이를 소비하는 독자들의 환경이 동일해지면서 정서적 합일치가 이뤄졌다”며 "기존 만화와는 또 다른 새로운 시장을 창출해 내고 있다"고 설명했다.

 

 

>>전문보기 http://moneyweek.co.kr/news/mwView.php?no=2012101801518062204

 

 

이미지 맵

Parkseokhwan

만화평론가 박석환 홈페이지. 만화 이론과 비평, 웹툰 리뷰, 인터뷰, 보도자료 등 게재

    'Focus/촌평' 카테고리의 다른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