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석환, 만화세상이 왔다고, 만화시비탕탕탕, 1999


어쩌다가 만화가 국책 산업이 되어서 너나할것없이 만화나 애니메이션을 하겠다고 난리다. 미술대로 유명한 모대학교 앞을 지나면서 빼곡이 들어찬 미술학원을 보고는 ‘미술학원선생 양성과’가 있냐고 묻더라 더니. 웃기지도 않을 작태가 만화쪽에서도 재현되는지라 ‘만화’자 붙은 대학이 생겨나고, 사설교육기관이다 평생 교육원이다 해서 줄기차게 만들어지는 게 미술학원 꼴이다.  이런 시류에 편승하지 못하면 무슨 늙다리라는 평가에 직면할 듯 대학들은 급하게 나서고 있다. 대부분 얼굴마담 하나도 변변하지 못한 게 당연하다. 저마다 만화에 대한 사회의 인식이 달라졌다고 말하면서, 모대학에 다니던 학생이 학교 때려치우고 만화학원에 다니는 꼴을 배우라 말한다. 저런 미친놈들도 있구나 하던 사람들도 그만큼 인식이 성장했음을 절감한 듯 고갯짓을 해댄다.  


이제 막 2년차가 되는 지방자치단체들도 저마다 인기위주 행정이라는 손가락질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만화와 영상만이 살길인 듯 버티고 있다. 몇 해전 모 공무원이 근무시간 중 만화방에 간 것이 발각돼 징계처분을 내린 일은 전설로 감춰져버렸고, 요사인 만화전문인원을 구하지 못해 안달이란다. 

기업 쪽에서도 만화영상 관련 출구를 지니지 못하면 금방이라도 망할 듯 한자리 찾아보려고 수선을 떨고 있다.  만화출판 쪽에도 예외는 아니어서 미술전문 출판사다, 뭐다 하는 곳에서까지 만화잡지 창간에 목을 메고 있다. 그나마 불쑥불쑥 창간되는 만화전문지들 탓에 작가유지가 힘들어진 기존잡지사들은 신진작가 발굴에 혈안이 돼있다. 아직 작가수업이 끝나지 않은 분담작가(만화제작 시스템의 한 분야만을 전문으로 하는)들이 잡지사 측의 기획에 편승, 작품 전체를 전담하고 있어서 질적인 수준하락마저 당연하게 이해된다.  

이쯤 되다보니 이왕에 만화하는 사람들은 대접이야 괜찮아졌을 법하다. ‘아 어제 친척들 모임에 갔더니 만화가 왔다고 난리더라. 조카들이 삼촌 돈 많이 번다고 재롱떨면서….’ 주변에 젊은 만화가 한 명이 내뱉은 말이다. 장사하는 사람들도 잘하는 놈 못하는 놈이 나뉘는데 만화라고 별 수 있는가? 소위 말하는 몇몇 스타작가를 제외하면 어시스트 하나 굴리기도 힘든 판국이다. 아니, 그런 편은 좀 나은 쪽이고 밑천이 가장 안 든다(잉크, 펜, 종이, 톤)는 만화를 하면서도 톤 값이 없어서 밤샘 터치를 하는 쪽도 허다하다.  


환쟁이도 아니고 만화쟁이라고 부르면서 괜한 야유를 퍼부을 땐 언제고-기실 지금이라고 그리 달라지진 않았지만 돈이 그러한 인식을 불식시켜 버렸다. 언론이 갑자기 팔을 걷어붙이고 떼돈을 번다고 소문을 내고 있으니. 돈이 되는 일을 한다는데 누가 이론을 제기하며 하대를 하겠는가? 언젠가 장인 될 사람을 찾아가서 인사를 드리고 만화를 한다고 했더니 ‘돈 잘 벌겠네?’라고 묻던 기억이 난다. 

아니 창작하는 놈팽이들이 언제부터 ‘돈’과 ‘잘-’을 연결시키는 재주까지 부렸단 말인가? 세상을 모른척하고 앉아 있었던 것도 아닌데. 지들끼리만 알기로 한 일들이 숱하지만 이건 당최 모를 일이다. 그러다 보니 생긴 건지, 아님 그 이전부터 해왔는지, 대중문화의 담론화 현상에 따라 치솟은 건지 유래 없는 만화평론이라는 신흥장르가 생겨나기도 했다. 이거 뭐 만화면 됐지, 만화평론은 또 무슨 역할이란 말인가? 만화선진국에서도 만화실기와 교육사회학을 통한 만화연구가 이론서의 전부이다. 그 외 몇 종류가 더 있지만 우리의 경우처럼 텍스트론을 하고있는 곳은 없다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우리와 가장 닮은꼴의 만화판이 형성되어있는-기실은 우리가 닮아가고 있는-일본에서도 에세이류의 만화예찬서가 발표됐을 뿐이다.  


한해 약2천5백만권(이게 많다고? 일본은 한해 약30억권)을 출판하는 영세성을 지닌 만화판에 과연 조력자의 역할이 어느 만치나 필요할지 의문이다. 누군가 만화시장의 규모가 3조원이라고 떠벌리고 있는데, 그 3조원을 나눠 먹을 사람이 몇인지 생각해봤을까? 그리고 그들 중 도대체 몇 사람이 진짜 만화를 하는지도 궁금하지 않을 수 없다. 아마도 이래저래 나누다 보면 난감할 지경에 놓일게 뻔하다. 애니메이션에 대한 과잉기대로 인해 죽써서 남준 꼴만 만들어낸 것이 90년 초의 우리만화시장이다. 『블루시걸』 이상도 아니며 『아마게돈』 이하도 아닌 것이 우리 시장이고, 만화판의 실력인 것이다. 기대감은 십오만 이상의 관객도 형성해내지만, 후회는 그 터럭만큼도 이끌지 못하는 것이다. 이는 출판만화가 일본 세에 눌려 있는 것과 같은 형국이 아닐 수 없다.  

만화세상이 와있는 것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디즈니와 도에이의 환상에 리듬을 맞추며 가상세계로의 진입을 꿈꾸어 온 지는 이미 오래 전 일이다. 문제는 역전된 만화세상이라는 걸 이루기 위한 담론의 형성인데, 이게 뭐 하다가 보니 디즈니(미국)와 도에이(일본)의 재미있는 세상에 대한 광고만 하고 있는 꼴이다. 더 아찔한 건 만화작품이라는 것들이 그냥 지나치듯 봐서는 어떤 놈 껀지도 잘 파악이 안 된다는 거다. 우리가 출판했다고, 우리작가가 그렸다고 다 우리 것은 아니란 말이다.


글/ 박석환(만화평론가, www.parkseokhwan.com ) 

이미지 맵

Parkseokhwan

만화평론가 박석환 홈페이지. 만화 이론과 비평, 웹툰 리뷰, 인터뷰, 보도자료 등 게재

    'Critique/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